자유한국당 심재철 원내대표는 2019년 12월 19일 "만일 더민주당이 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를 밀어붙인다면 '비례한국당'을 만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밝혔답니다. 한국당 지도부가 공식 석상에서 '비례한국당' 창당 의사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랍니다.
박완수 한국당 사무총장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비례한국당'에 대해 "언제든지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할 수 있는 실무적인 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며 "내부 논의를 통해서 적정한 당명을 선관위에 신고하고 싶다"라고 말했답니다.
현재 4+1 협의체에서 논의되고 있는 선거제 개편안은 비례대표 의석을 50석으로 3석 늘리고 이중 30석에 연동률 50%를 도입하는 방식이랍니다. 이 30석은 정당득표율을 기준으로 배분됩니다. 지금 기준으로는 한국당이 수혜를 입기 힘들답니다. 한국당이 정당득표율 35%를 얻는다 해도 지역구 선거에서 이미 105석을 채웠다면 추가로 비례의석을 배분받을 수 없기 때문이랍니다. 30석은 지역구에서 의석 수를 크게 얻지 못한 군소정당이 차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데 한국당은 나머지 20석 중 35%인 7석만 할당받습니다.
그렇지만 한국당이 '비례한국당'을 만들어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따로 준비하는 전략을 펼친다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한국당 지지자들에게 '지역구는 한국당에 투표하되, 정당투표는 비례한국당을 찍어달라'고 홍보하는 방식이랍니다. 비례한국당은 지역구 의석을 얻지 않기 때문에 정당지지율 35%를 고스란히 안고갈 수 있다는 게 한국당 측 설명이랍니다. 전략이 성공하면 연동률이 적용되는 30석중 20석 가까이를 비례한국당이 챙길 수 있고 나머지 20석 중 7석도 추가로 할당받을 수 있답니다.
댓글